본문 바로가기
농기계, 산업용기계

2025 콤바인 종류별 비교 및 가격 정리|정부 보조금·구매 가이드 완벽 분석

by 알로-하 2025. 5. 19.
반응형

농작물 수확의 핵심 장비인 **콤바인(Combine Harvester)**은 벼, 보리, 밀, 옥수수 등의 곡식을 수확하는 데 필요한 탈곡, 정선, 예취 과정을 동시에 처리할 수 있는 복합 농기계입니다. 농촌 인구 고령화와 일손 부족이 심화되는 요즘, 작업 효율성과 시간을 절약해주는 콤바인의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고 있습니다.

 

이 포스팅에서는 콤바인의 종류별 특징과 2025년 기준 최신 가격 정보를 정리하여, 구매를 고려 중인 농업인과 관심 있는 분들에게 실질적인 도움을 드리고자 합니다.

콤바인 기본 개념 이해

사진=LS엠트론 사이트, V6120A

● 콤바인이란?

콤바인은 'Combine'이라는 이름처럼 수확, 탈곡, 정선 등 여러 작업을 '결합(Combine)'한 농기계입니다. 작물의 종류와 지역, 논/밭 환경에 따라 다양한 모델이 있으며, 운전방식, 크기, 기능, 자동화 수준 등에 따라 크게 나뉩니다.

 

● 주요 기능 요약

  • 예취(刈取): 작물을 자르는 기능
  • 탈곡(脫穀): 이삭에서 곡물을 분리하는 기능
  • 정선(精選): 곡물과 이물질을 구분하는 기능
  • 집적(集積): 수확된 곡물을 모아주는 기능

콤바인 종류별 분류와 특징

사진=대동, DXM850G

1. 궤도형 콤바인 (Crawler Type)

✅ 특징

  • 무한궤도(러버트랙) 장착으로 진흙, 습지, 논과 같은 연약 지반에 적합
  • 좌우 조향력이 뛰어나 좁은 논길에서도 민첩한 움직임 가능
  • 한국, 일본과 같은 아시아 논농사 지역에서 널리 사용

✅ 장점

  • 습지에서도 안정적 주행 가능
  • 탈곡 및 예취 능력이 안정적
  • 대부분 자주식으로 조작 편리

✅ 단점

  • 주행 속도가 낮아 도로 이동에 비효율적
  • 유지보수 시 부품 교체 비용이 비교적 높음

✅ 대표 모델 및 가격 (2025 기준)

제조사 모델명 마력 가격대(만원)
대동 DXM85G 85마력 약 7,000~7,500
동양 ER6120 120마력 약 8,500~9,500
얀마 YH880 88마력 약 7,800~8,300
LS엠트론 C95D 95마력 약 7,500~8,200

 

사진=TractorHouse, 존디어W540

2. 타이어형 콤바인 (Wheel Type)

✅ 특징

  • 고무 타이어 장착으로 밭, 건조한 논, 평지에서 유리
  • 도로 주행이 용이해 이동식 작업에 적합
  • 유럽, 북미, 중국 등 넓은 밭작물 지역에서 보편적 사용

✅ 장점

  • 주행 속도 빠르고 이동 효율성 높음
  • 비교적 가격이 낮고 정비 용이
  • 건조지형에서 생산성 우수

✅ 단점

  • 습한 논이나 경사지에서는 주행력 떨어짐
  • 미끄러짐으로 인한 작업 정확도 저하 가능

✅ 대표 모델 및 가격 (2025 기준)

제조사 모델명 마력 가격대(만원)
대동 C800 80마력 약 6,000~6,500
동양 WMX110 110마력 약 7,000~7,800
얀마 AW85V 85마력 약 6,800~7,300
존디어(수입) W540 200마력 이상 약 18,000~20,000
 

3. 자주형 콤바인 vs 승용형 콤바인

● 자주형 콤바인

  • 운전석이 기계 위에 장착된 형태
  • 작업자가 직접 기계를 조작하며 작업
  • 국내에서는 이 방식이 가장 일반적이며 고기동성과 작업 정밀성이 장점

● 승용형 콤바인 (Ride-On)

  • 트랙터나 다른 차량 뒤에 콤바인을 부착하여 운전자가 탑승하는 구조
  • 대형 작업장에 적합하며, 기계 운전이 익숙한 인력에게 유리

✅ 주요 차이점 비교

항목 자주형 승용형
조작 방식 직접 탑승해 조작 운전석에서 콤바인 조작
적합 작업지 중소형 논밭 대형 밭, 넓은 작업장
이동성 우수 낮음
가격대 중간~고가 고가

콤바인 구매 시 고려할 요소

  1. 작업 환경: 논인지 밭인지, 경사지인지 평지인지에 따라 궤도형과 타이어형 중 선택
  2. 작업 면적: 대규모 농지일수록 고마력, 고속 주행이 가능한 대형 모델 추천
  3. 예산: 정부 보조금 적용 여부, 중고장비 구매 여부에 따라 부담 조절 가능
  4. 정비 편의성: A/S 가능성, 부품 수급 여부, 주변 정비소 유무도 중요

2025년 기준 콤바인 관련 지원 정책 요약

사진=공식사이트, 대동(DH6135)/얀마(YH6140)

농림축산식품부 및 각 지자체 보조사업

  • 콤바인 등 고가 농기계는 최대 50%까지 보조금 지원 가능
  • 사업자 등록 및 영농 경력, 영농규모 등을 종합 고려해 선정
  • 지원 대상은 주로 신규 또는 기종 교체 목적이며, 일부 지자체는 중고 기계는 제외함

융자 지원

  • 일부 금융기관과 농협에서는 농기계 구매 전용 대출상품 운영
  • 연리 2% 이하의 저금리 조건으로 운용되는 경우도 있음

중고장비 지원 프로그램

  • 농기계은행 등을 통한 중고 콤바인 임대 가능 (일일/기간 단위)
  • 영농 규모가 작거나 단기 사용이 필요한 경우 유리

콤바인은 투자 가치가 있는 장비인가?

답은 ‘예’입니다. 작업시간을 단축하고 수확 효율을 극대화해주는 콤바인은, 특히 일손 부족 문제를 겪는 중소형 농가에 반드시 필요한 장비입니다. 물론 초기 비용은 부담될 수 있지만, 보조금·융자 제도를 활용하면 접근성이 훨씬 높아집니다.

또한 기종 선택 시에는 단순 가격 비교보다는 작업 환경과 수리 가능성, 브랜드 신뢰도까지 함께 고려해야 합니다.

 

📎 함께 보면 좋은 포스팅

반응형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