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자동차

"국내 들어올 가능성은?" , 지커 7X 전기차 가격과 경쟁력 살펴보기

by 알로-하 2025. 10. 3.
반응형

전기차 시장은 해마다 새로운 모델이 쏟아지면서 소비자들의 선택지가 점점 넓어지고 있습니다. 최근 특히 주목받는 모델 중 하나가 바로 지커 7X(Zeekr 7X)인데요. 중국 프리미엄 전기차 브랜드인 지커가 선보인 중형 SUV 전기차로, 최대 780km라는 긴 주행거리를 내세우며 큰 화제를 모으고 있습니다. 오늘은 지커 7X의 디자인, 제원, 가격, 그리고 경쟁 모델과의 차이점까지 하나씩 살펴보겠습니다.

지커 7X 디자인, 어떤 특징이 있을까?

외관은 미래적인 분위기가 강합니다. 전면부는 날렵하게 뻗은 얇은 헤드램프가 차량의 성격을 드러내고, 중앙에는 단순화된 패널이 자리합니다. 측면은 공기저항을 줄이도록 설계된 루프라인과 매끈한 차체 곡선이 인상적입니다.

사진=지커 홈페이지

차체 크기는 전장 약 4,825mm, 전폭 1,940mm, 휠베이스 2,915mm로 동급 전기 SUV 중에서도 제법 큰 편에 속합니다. 후면부에는 가로로 길게 이어지는 LED 라이트 바와 입체감 있는 범퍼가 적용되어 세련된 인상을 완성했습니다.

제원과 성능, 어느 정도일까?

지커 7X는 2WD와 AWD 모델로 출시됩니다. AWD 기준 최고출력은 약 310kW, 즉 421마력에 달합니다. 정지 상태에서 시속 100km까지 단 4.2초 만에 도달할 수 있을 정도로 스포티한 성능을 갖췄습니다.

사진=지커 홈페이지

적재 공간도 넉넉합니다. 기본 트렁크 용량은 600리터 이상으로 가족 단위 여행이나 캠핑에 적합합니다. 실내는 15인치 대형 디스플레이와 증강현실 기반 HUD가 탑재되어 첨단 기능을 강조했고, OTA 업데이트를 통해 소프트웨어를 지속적으로 개선할 수 있습니다.

주행거리, 정말 780km 달릴 수 있나?

이 모델이 가장 주목받는 이유는 긴 주행거리입니다. CLTC 기준으로 표준형은 약 605km, 롱레인지 모델은 최대 780km까지 주행 가능하다고 발표되었습니다. 이는 테슬라 모델Y의 650km, 기아 EV9의 540km를 뛰어넘는 수준입니다.

사진=지커 홈페이지

또한 CATL의 최신 배터리 셀이 적용되었으며, 초급속 충전 시 15분 만에 약 300km를 충전할 수 있습니다. 겨울철 배터리 효율 저하 문제를 고려해 프리컨디셔닝 기능도 포함돼 안정성을 높였습니다.

가격대는 어느 정도로 책정됐을까?

 

 

해외 판매 기준 AWD 퍼포먼스 모델의 가격은 약 72,900달러, 한화로 약 6,600만 원 수준입니다. 기본형 RWD나 롱레인지 모델은 더 낮은 가격대에서 출시될 예정입니다.

 

주행거리와 성능을 함께 고려했을 때, 동급 전기 SUV 중에서는 가성비가 괜찮다는 평가가 나오고 있습니다.

경쟁 모델과 비교하면 어떤 위치일까?

지커 7X는 테슬라 모델Y, 기아 EV9, 현대 아이오닉7 등과 자주 비교됩니다. 테슬라는 충전 인프라와 브랜드 파워에서 강점이 있지만, 주행거리만 놓고 보면 지커 7X가 더 앞섭니다. 기아 EV9은 차체 크기가 조금 더 크지만, 소프트웨어와 효율성 측면에서는 지커가 우세하다는 평가가 있습니다.

사진=지커 홈페이지

한국 시장에서도 볼 수 있을까?

현재 지커는 유럽과 아시아 일부 지역에서 판매망을 확대하고 있습니다. 한국 시장 진출 여부는 아직 공식적으로 발표되지 않았습니다. 그러나 최근 중국 전기차 브랜드들이 한국 진출을 활발히 추진하고 있는 만큼, 지커 7X 역시 도입 가능성이 충분히 열려 있다고 볼 수 있습니다.

사진=지커 홈페이지

국내 출시 시 가격과 서비스 인프라가 소비자 선택의 중요한 기준이 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정리하며

지커 7X는 중국 내수용에만 머무르지 않고 글로벌 시장을 겨냥한 전기 SUV입니다. 780km 주행거리, 4초대 가속 성능, OTA 업데이트 등 전기차에서 핵심으로 꼽히는 요소들을 고루 갖춘 모델이기도 합니다.

 

아직 국내 출시 여부는 불확실하지만, 충분히 주목해볼 만한 모델임은 분명합니다. 여러분은 지커 7X에 대해 어떻게 생각하시나요? 댓글로 의견을 남겨주시면 함께 이야기 나눠보면 좋겠습니다.

반응형

댓글